충무공 이순신은 1545년 4월 28일 지금의 서울 중구 인현동 1가 31-2번지(한성 건천동)에서 태어났다. 이순신의 증조부 이거는 임금이나 세자가 경연이나 서연을 할 때 경서 등을 강론하는 문관이었으며, 성종과 연산 두 대를 걸쳐 대관을 지냈다.
1. 문, 무융합
난중일기와 같은 차별화된 리더십은 문관과 무관으로써의 역량을 모두 갖춘 이순신 장군이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문관으로써의 표현력과 소통능력으로 내부 조직의 역량을 극대화 하고, 무관으로써의 전략, 전술로 적군과의 전투를 승리로 이끌지 않았을까?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통하여 최근 요구되는 융합지식과 기술의 중요성을 느껴본다.
2. 원칙과 이타적 관점
리더십의 유형이라기 보다는 리더의 역량 또는 Leadership Ethics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며, 분류한다면 윤리적 리더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자신의 이익보다는 나라를 위한 충심으로 모든 것을 결정하는 원칙과 조직원을 생각하는 이타주의는 조직원의 팔로워십을 끌어내는 원동력이 되었을 듯 싶다.
3. 포기하지 않는 마음과 승리할 수 있는 전략가
전하!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있사옵니다. 어찌보면 무모하기도 하다. 하지만, 승리할 수 있는 전략이 있어고 전투에서 승리하였기에 ' 전하!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있사옵니다."는 우리 모두에게 포기하지 말라는 교훈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즉, 포기하지 않는 마음이 있었기에 절실함과 함께 멋진 전략을 생각해낼 수 있었지 않았을까?
4. 다방면의 지식
어릴적 <사서삼경>, <소학>을 익혔으며, 임진왜란 중에도 <증손전수방략>, <동국사>, <송사>등을 학습것으로 알려 져있다. 리더의 역량은 조직의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직장생활을 할때, 역량이 뛰어난 리더가 열심히 일을 할때 기업은 몰라보게 성장하지만, 역량이 미흡한 리더는 일을 열심히 하는 것보다는 열심히 하지 않는 것이 차라리 낮다고 했었다. 그만큼 리더의 역량은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리더는 항상 공부하여야 한다.
김대중 대통령이 옥중에서 엄청난 책을 읽었따는 것은 누구나 매스컴을 통하여 알고 있다. 당신은 1년동안 몇권의 책을 읽는가?
5. 훌륭한 리더는 팔로워를 만든다.
조직의 목표달성은 리더보다는 조직원을 통해 만들어 진다. 리더의 전략과 전술에 따라 조직원의 행동에 성과와 성패가 결정된다. 조직원들에게 필요한 것은 리더십보다는 팔로워십니다.
유튜브 교육을 진행하다 구독자수를 확인한 적이 있다.
"현재 구독자가 한명이네요?"
"네, 신랑한테 구독해달라고 해도 구독을 눌러주지 않네요"
SNS 콘텐츠가 마음에 들지 않지만 지인이라고 해서 구독을 해주거나 팔로워를 해주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조직의 리더의전략이나 방향성 또는 조직 운영방법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조직원의 팔로워십을 끌어내기는 불가능에 가깝니다.
충무공 이순신을 따르는 팔로워십은
첫째, 문, 무융합
둘째, 원칙과 이타적 관점
셋째, 포기하지 않는 마음과 승리할 수 있는 전략가
넷째, 다방면의 지식
모든 통합된 역량과 소통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참고문헌>
김윤태, 2018, 리더십, 난중일기에 묻다, 성안당
P.G. Nothouse(역: 김남현), 2001, 리더십 이론과 실제, 경문사